Investmentdiary

[Joescrypto🐬] BTC/USDT 현 상황 리뷰

INDEX:BTCUSD   Bitcoin


🚩 BTC/USDT 현 상황 리뷰 by Joe

*이전 관점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해당 아이디어는 연관 아이디어 링크를 참조하십시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재 비트코인 상황에 대한 브리핑과 함께,
분석 - 트레이딩으로 이어지는, 거기에 리스크관리가 포함되는 제 의사결정과정을 함께 적었습니다.

모든 분석 및 트레이딩이 성공적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자신만의 기준을 가지고 시장에 임하는 것은 참 중요한 일임을 계속해서 깨닫습니다.



✅ 해당 내용은 Joescrypto에서 진행하는 교육 내용이 이해되었다는 전제 하에 작성되었으며, 22-12-19에 작성된 내용을 공유드립니다.




🚩 22-12-19 저녁 기준의 관점


1. 현재 자리에서 롱포지션을 들어가서 반등을 기대하는 거래를 한다. (익절을 짧게 가능)

2. 현재 자리에서 큰 반등 (추세) 를 생각해서, 롱 포지션을 홀딩하는 전략을 취한다.
-> 대신, 추세를 먹으려고 하는 만큼 각 저항 구간마다 팔것이냐, 말것이냐에 대한 고민을 해야한다.

3. 현재 0.382(주황색 피보나치)에서 하락할 경우, 하락하는 노란색 피보나치를 확장해 추가적인 지지라인을 생각할 수 있다.
(16000-16200, 피보나치 하락상 1에 해당하는 15- 중반대 가격 - 전저점 자리)

3-1. 13000대 후반 (13700-14000) 자리는 20년도 이전에 나왔던 반등의 고점과 겹치고,
피보나치 확장값과도 겹치고, 첫 피보나치에서 깃발패턴을 입혀서 동일한 퍼센테이지를 적용했을 때 또 겹친다.

✅ => 여기까지는 지지구간 체크를 통한 롱 관점


1. 현재 위치해있는 주황 피보나치(상승 피보나치) 0.382 지점에서 반등했다가 떨어지는 경우

1-1. 반등을 했을 때, 주황 피보나치에서 0.618에 해당하는 17300구간에서 숏 진입 (공격적 타점)

1-2. 반등을 했을 때, 17300을 돌파하고 17600-17800라인까지 닿을 때
: 주황색 상승 피보나치와, 노란색 하방 피보나치에서 방향을 상방으로 돌릴 수 있는 겹치는 구간이다.
(1-1보다는 보수적 타점, 그러나 피보나치 2개가 상방을 갈 확률이 높으므로 신뢰성은 높고, 손절 범위도 짧다.)

2. 현재 위치해있는 주황 피보나치(상승 피보나치) 0.382 지점에서 바로 무너지는 경우
-> 0.382에 해당하는 16500-16800 지점을 '캔들 몸통'으로 이탈하는 경우. 해당 가격대가 지지가 아닌 저항이 되는지 확인하고 숏 진입 가능.
다만, 현재 자리는 큰 박스권의 중단이기 때문에 위아래로 언제든지 흔들 수 있다.

✅ => 여기까지는 바로 이탈할 가능성과 반등 시 저항구간 체크를 통한 숏 관점



🚩 트레이딩에서의 중요한 판단 기준



*수 많은 선택지 중에서, 바로 진입/ 혹은 대응하는것이 좋은 선택일지, 조금 기다리면서 자리를 기다렸다가 준비하는 것이 좋은 선택일지는 스스로 고민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이후에 해당 선택지에 대한 손익비를 생각하여, 익절값보다는 손절 범위에 대한 퍼센테이지를 생각해서 거래를 결정할 때 배분할 증거금(시드머니)를 배치할 수 있다.
(손절이 청산이면 안되겠죠?)

*수익률 곡선은 사실 지수차트 형태보다는, 계단식 상승이다.
큰 수익이 났을 때 그 수익을 얼마나 방어할 수 있는지가 자산 향상의 핵심이다.
하지만 계속 손실이 나는 대부분의 트레이더, 투자자들은 반계단 형태의 수익률 곡선을 띄고 있다.
(찔끔 찔끔 먹다가 뱉어낼 때는 다시 돌아올 수 없을 정도로 크게 뱉어내기 때문)



Thông báo miễn trừ trách nhiệm

Thông tin và ấn phẩm không có nghĩa là và không cấu thành, tài chính, đầu tư, kinh doanh, hoặc các loại lời khuyên hoặc khuyến nghị khác được cung cấp hoặc xác nhận bởi TradingView. Đọc thêm trong Điều khoản sử dụng.